돗토리현 제1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돗토리현 제1구는 돗토리현 동부에 위치하며, 1996년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설치되었다. 2013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유리하마정이 2구로 넘어가면서 돗토리시, 구라요시시, 이와미군, 야즈군, 도하쿠군 미사사정을 포함하게 되었다. 초대 국회의원인 이시바 시게루는 1996년부터 현재까지 이 선거구에서 당선되었으며,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방위대신, 농림수산대신, 당 간사장 등을 역임했다. 2024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이시바 시게루는 85.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돗토리현의 선거구 -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는 돗토리현과 시마네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구로, 2명의 의원을 선출하며, 자유민주당이 주로 의석을 차지해왔다. - 돗토리현의 선거구 - 돗토리현 제2구
돗토리현 제2구는 돗토리현의 중의원 의원 선거구로 요나고시, 사카이미나토시, 도하쿠군 일부, 사이하쿠군, 히노군을 포함하며, 자유민주당 지지 기반이 강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야당의 비례 부활 당선 사례가 드물게 나타난다. - 일본 중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제2구
에히메현 제2구는 일본 에히메현의 중의원 선거구로, 마쓰야마시 일부, 이마바리시, 도온시, 오치군, 이요군을 포함하며 과거 자유민주당 텃밭이었으나 2024년 총선에서 입헌민주당이 승리하며 변화를 겪었고,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의원이 장기간 당선되었던 지역이다. - 일본 중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제3구
에히메현 제3구는 일본 에히메현의 중의원 선거구로, 과거에는 에히메현 동부 지역을 관할했으나 선거구 개정 이후 관할 지역이 크게 변경되었고, 정당 간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돗토리현 제1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지역 | 돗토리현 |
선거구 종류 | 중의원 소선거구 |
관할 구역 | 구라요시시, 돗토리시, 이와미군, 야즈군, 도하쿠군 (미사사정만 해당) |
인구 | 226,751명 |
선거구 약사 | |
설정 연도 | 1994년 |
비고 | 자유민주당의 텃밭으로 꼽힘. |
대표 의원 | |
이름 | 이시바 시게루 |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
당선 횟수 | 12회 |
비고 | 최다선 의원 중 한 명 |
지도 정보 | |
![]() | |
기타 정보 | |
선거구 코드 | 3101 |
이전 선거구 | (폐지) |
다음 선거구 | (예정) |
2. 지역
2013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유리하마정이 돗토리현 제2구로 이동하면서, 현재 돗토리현 제1구에 속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1994년 공직선거법 개정부터 2013년 소선거구 개정 이전까지 돗토리현 제1구에 속했던 지역은 다음과 같다.[15]
[13][14]
방위대신, 농림수산대신, 당 간사장을 역임한 이시바 시게루(자유민주당) 의원이 이 지역구에서 강력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이시바 의원은 대립 후보에게 한 번도 비례 부활을 허용하지 않고 계속 당선되고 있으며, 무풍 지역이자 전형적인 보수 왕국으로 평가받는다.
돗토리현 제1구에서 치러진 역대 중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역사
2021년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이시바 의원은 전국 최고 득표율(84.07%)로 당선되었다.[16] 2024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소속 정당인 자민당이 열세에 놓여 과반수에 미달, 소수 여당으로 전락하는 어려운 결과 속에서도, 이시바 의원 개인은 지난 총선보다 더 높은 득표율(85.15%)로 당선되었다.
4. 역대 국회의원
선거명 연도 당선자 정당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96년 이시바 시게루 무소속 제4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0년 자유민주당 제4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3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5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9년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2년 제4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4년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7년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21년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24년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제50회 (2024년) 이시바 시게루 자유민주당 106,670 85.1 공명당 추천[4] 아사쿠라 히로유키 입헌민주당 12,389 9.9 사회민주당 돗토리현 연합 추천[4] 오카다 마사카즈 일본공산당 6,220 5.0 [4] 제49회 (2021년) 이시바 시게루 자유민주당 105,441 84.1 공명당 추천[5] 오카다 마사카즈 일본공산당 19,985 15.9 [5] 제48회 (2017년) 이시바 시게루 자유민주당 106,425 83.6 공명당 추천[6] 쓰카다 나루유키 일본공산당 20,829 16.4 [6] 제47회 (2014년) 이시바 시게루 자유민주당 93,105 80.27 공명당 추천[7] 쓰카다 나루유키 일본공산당 22,888 19.73 [7] 제46회 (2012년) 이시바 시게루 자유민주당 124,746 84.50 공명당 추천[7] 쓰카다 나루유키 일본공산당 17,550 11.89 [7] 이노우에 히로시 무소속 5,325 3.61 [7] 제45회 (2009년) 이시바 시게루 자민당 (공명당 지지) 118,121 61.97 [8] 오쿠다 야스아키 민주당 (국민신당 지지) 63,383 33.25 [8] 이와나가 나오유키 일본공산당 7,336 3.85 [8] 호소카와 유키히로 행복실현당 1,757 0.92 [8] 제44회 (2005년) 이시바 시게루 자유민주당 106,805 59.25 [9] 하야카와 슈사쿠 민주당 48,092 26.68 [9] 다나카 세이이치 사회민주당 14,271 7.92 [9] 쓰카다 나루유키 일본공산당 11,105 6.16 [9] 제43회 (2003년) 이시바 시게루 자유민주당 114,283 71.60% [10] 다나카 세이이치 사회민주당 31,236 19.57% [10] 스이즈 이와오 일본공산당 14,092 8.83% [10] 제42회 (2000년) 이시바 시게루 자유민주당 91,163 49.06 [11] 다무라 고타로 무소속 62,811 33.80 [11] 지쿠마 후미코 사회민주당 22,425 12.07 [11] 이와나가 나오유키 일본공산당 9,406 5.06 [11] 제41회 (1996년) 이시바 시게루 무소속 94,147 62.47 [12] 지쿠마 후미코 사회민주당 28,496 18.91 [12] 이와나가 나오유키 일본공산당 14,845 9.85 [12] 야마다 아쓰시 신사회당 13,221 8.77 [12] 5. 1. 제50회 (2024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이시바 시게루 | 자유민주당 | 106,670 | 85.1 | 공명당 추천 |
아사쿠라 히로유키 | 입헌민주당 | 12,389 | 9.9 | 사회민주당 돗토리현 연합 추천 |
오카다 마사카즈 | 일본공산당 | 6,220 | 5.0 |
- 이시바 시게루의 득표율은 제50회 중의원 선거에서 전국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4]